국제

"세계의 공장"으로 복권하려는 중국, 베트남과 격돌

o2zone 2017. 3. 7. 10:06

중국은 한때 세계의 공장이었다.


2011년에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생산 제품 생산국이 되었었다. 공장은 소득 수준을 올리는 엔진으로 되었고, 중국의 1인당 GDP는 2013년까지의 10년간의 두 배로 증가했다. 때문에 중국은 경제 성장과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경부터 국내 소비와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를 중시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국은 지금, 세계의 공장의 위치를 되찾으려하고 있다. 이 움직임은 중국 최대의 라이벌이 된 베트남에 대항하는 것이다.


정부계 싱크 탱크 인 중국 국제 경제 교류 센터에 따르면,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는 올해 15% 증가, 증가율은 전년 대비 4.1% 웃돌 전망이다. 해외 자본에 대한 개방 정책과 해외 투자 절차의 신속화가 직접 투자의 성장을 주도했다. 중국 영자 매체 차이나 데일리는 "신소재, 신기술 분야가 투자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자본 유출을 막을 필요가 있지만, 자본 유출의 대부분은, 자국을 과다 경쟁으로 제약이 너무 많다고 생각하고 있는 중국 기업에 의한 것이다. 자본 유출은 2015년에 1조 달러에 달했고, 2016년도 그다지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싱가포르 무디스 소버린의 마리 딜런은 "FDI(외국인 직접 투자) 유입액에서 FDI 유출액을 뺀 금액은, 이 2년간 마이너스가 계속되어, 외환 보유액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차이나 데일리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에서의 대 중국 투자는 1180억 달러로 중국의 GDP의 2%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편, 베트남으로의 해외 직접 투자의 GDP 비율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를 제치고 6%로, 무명의 가구 제조 업체로부터 폭스콘과 삼성 전자 등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하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존재감을 높이고 있는 베트남은 연간 6%에 가까운 경제 성장을 실현하고 있다.


- 전자 분야에서 급성장 중인 베트남


베트남은 지금까지 의류 및 자동차 부품 제조 등 부가가치가 낮은 작업을 담당해 온 반면, 중국은 PC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베트남도 이 5년에 전자 제품 생산 기지로 변모하고 있다.



미 싱크 탱크 중국 비즈니스 전문 스콧 케네디는 "다국적 기업은 예전처럼 중국 투자 의욕을 가지고 있지 않고, 투자를 다른 곳으로 옮기려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세계의 공장 위치의 복권을 목표로 한 중국에 대해, 베트남의 움직임은 더 활발해질지도 모른다. 호치민시에 거주하는 고문은 "현재는 베트남이 유치하고 있는 것은 생산 가치 사슬의 하류에 있는 업종들이다. 즉, 베트남의 성장은 지금부터다"라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