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me 98 업데이트로 도입된 5가지 신기능

또 새로운 Chrome 업데이트가 나왔다. 이번 "Chrome 98"은, 2월 1일부터 Chrome 사용자 전원이 업데이트 가능하다. 업데이트하면, 빌트인의 스크린 샷 툴이나 업그레이드 된 이모티콘 등 재미있는 신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언뜻 보기에 이해하기 어렵고, 이용하는데 조금 스스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변경점도 몇 가지 있는 것 같다. Chrome 98에서 새롭게 추가된 5가지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자. 1. 브라우저에서 스크린샷을 만들 수 있는 이것은 재미있는 도구. Mac이나 Windows에 탑재되어 있는 스크린 샷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Chrome 98을 사용해, 브라우저로 스크린 샷을 찍을 수 있다. 주소창의 "공유 아이콘"을 클릭하면, 카피의 링크아래에 "스크린샷"버튼이 있다. ..

정보통신기술 2022.02.20

2021년 등장한 웹해킹 테크닉 톱 5

보안업체 Port Swigger에서 "2021년에 등장한 웹 해킹 기술 톱 10"을 발표했다. "2021년에 등장한 웹 해킹 기술 톱 10"은 Port Swigger가 매년 수행하고 있는 과거 1년간 발표된 웹 보안에 관한 연구 중 가장 중요한 것을 특정하기 위한 노력의 2021년판이다. 2022년 1월에 전형 프로세스를 시작해, 정보 시큐러티 커뮤니티로부터 추천된 40건의 연구 논문 중에서, 마음에 드는 논문에 투표하게 해, 최종 후보를 15건까지 좁히고, 마지막에는 저명한 시큐러티 전문가에 의한 패널이 톱 10을 선출했다. 이 중에서 테크닉 톱 5를 살펴보자. ■ 1.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이용하여 대기업을 해킹하는 방법 가장 영향력있는 해킹 기법으로 선정된 것은, 보안연구가인 Alex Birsan 씨..

정보통신기술 2022.02.14

인스타그램, "액티비티", "보안검색" 기능을 전 세계적으로 전개

Instagram(인스타그램)은, 유저가 앱상에서 자신의 액티비티를 확인, 관리할 수 있는 "액티비티" 탭을 전개한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2021년 말부터 이 기능을 테스트하기 시작해, 현재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전개하고 있다. 새로운 탭에서는, 유저가 자신의 컨텐츠나 interaction을 일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에는 게시물, 스토리, 릴, 댓글, 좋아요, 스토리 스티커의 리액션 등이 포함된다. 또 사용자는, 새로운 표시 내에서 콘텐츠나 인터랙션을 날짜로 정렬 및 필터링하거나 특정 날짜 범위에서 과거의 코멘트, 좋아요, 스토리의 댓글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삭제한 콘텐츠나 아카이브한 콘텐츠 검색, 검색 기록 확인, 방문한 링크나 플랫폼에서 소비한 시간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2022.02.10

문자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깜빡이는 커서"는 언제 탄생했나?

사람들이 메일의 문장이나 SNS의 메시지를 입력하고 있을 때, 화면에는 다음 문자나 기호가 입력 될 위치를 나타내는 깜빡이는 커서가 표시된다. 너무 당연한 것이라 깊이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도 많을 것이지만, 만일 입력화면 어디에도 깜빡이는 커서가 없다면, 도대체 어디에 다음 글자가 나타나는지 알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런 깜빡이는 커서가 탄생한 것은 의외로 오래전의 1960년대라고 하며, 웹 미디어의 Inverse가 탄생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초기의 컴퓨터 단말을 사용했던 많은 사람들이 고민했던 것이, "다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장소를 나타내는 표식이 없다"라고 하는 문제.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이 매우 작기도하고, 1960년대 컴퓨터 단말기로는 텍스트 중간에 다른 말을 끼우거나 단어를 삭제하는 것이..

정보통신기술 2022.01.13

애플의 "AR 헤드셋", 2022년 발표설에 고조되는 기대감

애플은, 몇 년 전부터 증강현실 테크놀로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내년에도 독자적인 증강현실(AR) 헤드셋을 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AR은, 현재로서는 스마트폰 카메라 영상에, 디지털 세계의 정보를 겹쳐 보여주는 쿨한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이 테크놀로지는, 게임 앱의 "포켓몬 Go"등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지만, 향후는 헤드셋의 탑재가 기대되고 있다. 팀쿡 애플 CEO는, 4년전에 AR의 이점에 대해 VR(가상현실)처럼 주변 세계를 차단하는 게 아니라, 현실 공간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했다. 또한, 별도로 그는, AR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핵심 테크놀로지이지만, 메인스트림이 되기까지는 아직 발견해야 할 것이 있다고 말했었다. ..

정보통신기술 2021.12.26

인공위성의 수가 너무 많으면 발생하는 문제는?

1957년에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소련에 의해 발사된 이후, 수많은 인공위성이 다양한 목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우주 개발이 진행되고 지구의 궤도상을 주회하는 인공위성이 늘어나는 문제로 발생하는 문제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에 의해 미국과 소련의 우주 개발 경쟁이 본격화 되었고, 그 후 2010년대까지 연간 10~60기의 페이스로 인공 위성이 발사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급속히 인공위성 발사 속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1300기 이상, 2021년에는 1400기 이상의 인공위성이 발사되고 있다는 것. 매사추세츠 대학의 물리학 교수인 Supriya Chakrabarti 씨는, 2021년 9월 현재 7500기 이상의 인공위성이 지구 표면으로부터의 고도가 2..

정보통신기술 2021.12.12

Google에서 진행하고 있던 비밀 계획 "Project Hug"란?

인기 게임 "포트 나이트"의 개발사 인 Epic Games는, Google과 Apple의 앱 배포 플랫폼이 독점 금지법에 위반하고 있다고해서 세계 각국에서 소송을 전개하고 있지만, 2021년 8월 19일에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법정에서 Epic Games가 "소장의 무수정 버전"을 공개 한 것으로 Google이 "Play 스토어에서 독점적 인 지위를 유지하는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실시되고있다. 이 소장에 의해 밝혀진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명칭이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비즈니스 뉴스 사이트 MarketWatch의 샌프란시스코 지국장을 맡고있는 제레미 C 오언 씨가 그 내용을 정리하여 해설하고있다. 2021년 8월 19일에 Epic Games가 공개 한 "Google에 대한 소장의 무 수정판"..

정보통신기술 2021.08.23

초소형 & 배터리 구동 가능한 ESP32 채용 무선 통신 모듈 "TinyPICO"

Wi-Fi나 Bluetooth 등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 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ESP32"는, 염가로 손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에 채용되고 있다. "TinyPICO"는 그런 ESP32를 채용하면서 "소형 사이즈", "배터리 구동 가능", "대용량 메모리 탑재"라는 특징을 갖춘 무선 통신 모듈이다. TinyPICO를 개발 한 Unexpected Maker 씨에 따르면, ESP32를 채용 한 무선 통신 모듈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것들은 "저전력 동작에 대응하지 않는다", "사이즈가 크다", "탑재 메모리가 작다"라는 문제가 있다는 것. TinyPICO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된 무선 통신 모듈이다. 현시점에서는, TinyPICO의 제2세대가 판매 중이다. 제2세대 T..

정보통신기술 2021.07.23

Cookie가 규제 된 후에도 사용자를 식별하고 행동을 추적하는 방법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으로,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디지털 광고를 배포하기위한 Cookie 이용은, 규제되는 한가지로, Google도 Cookie를 대체 할 새로운 광고 방식을 개발 중이다. 그런 가운데, 새롭게 "Cookie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식별하고, 웹 사이트상에서의 활동을 추적하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애초에 Cookie는,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의 식별자였다. Cookie를 이용하면, 웹 사이트 측이 사용자의 검색 정보나 입력 정보를 사용자의 PC에 저장해두고, 2번째 이후의 액세스로 그 정보를 끄집에 내는것이 가능. 웹 사이트를 방문 한 개별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하게된 것으로, 특정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 할 수 있지만, Cookie가 거부되면 추..

정보통신기술 2021.06.18

양자 컴퓨터의 내부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나?

양자 컴퓨터는, 양자 역학을 계산에 이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컴퓨터(고전 컴퓨터)에서는 불가능한 대규모 계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있는 컴퓨터이다. 양자 컴퓨터의 기능중 그 일부를 알아보자. 양자 컴퓨터는, "0" 또는 "1"의 비트를 이용한 고전 컴퓨터와 달리, "0"과 "1"의 모두의 상태를 취할 수있는 양자 정보의 최소 단위 "양자 비트"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컴퓨터이다. 고전 물리학에서는 "0"과 "1"중 하나가 확실히 정해져 있는것에 반해, 양자 상태는 처음 관측해 "0" 또는 "1"인지를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양자 컴퓨터는 이 애매 모호한 중첩 상태를 사용하여 복잡한 정보를 표현하고있다. 양자 비트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일례로 "이온 트랩형 양자 컴퓨터"를 들 수있다. 이온 트랩 형 양자..

정보통신기술 2021.04.02

"속도"가 웹이나 앱 개발에 중요하다고 말하는 이유

웹 서비스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능의 구현에만 눈이 쏠리기 쉽지만, 실은 "속도"야말로 최고 중요한 요소가 될 수있다는 것. Facebook의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는 브래드 디커슨 씨가, 속도가 특히 중요한 장면과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없을 경우의 해결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속도의 중요성을 잘 알 수있는 전으로 디커슨 씨가 예로 들고있는 것이 iPhone이다. 휴대 전화의 역사는 2007년, iPhone의 등장으로 돌변했다. iPhone 등장 이전에도 터치 스크린의 휴대폰은 존재했지만, iPhone은 그들이 안고있었던 공통적인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었다. iPhone 이전의 터치 스크린 식 휴대기기가 안고있던 공통의 문제가 "속도"였다. 당시 인기였던 Motoro..

정보통신기술 2021.03.04

구글의 풍선으로 전세계에 인터넷을 보급한 "Project Loon"이 완전 종료

Google의 형제 회사 인 X에 의해 2013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2018년부터 독립 사업을 하고있었던, 풍선(기구)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Project Loon"이 프로젝트를 완전히 중단한다는 것을 발표했다. 세계에 많이 존재하는 인터넷 접속 환경이되지 않는 지역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Facebook은 해저 케이블 부설 계획 "2Africa"를, Amazon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인터넷을 보내는 "Project Kuiper"를 진행하고있다. Google도 2013년에 풍선에 의해 인터넷을 제공하는 Project Loon을 시작하여, 2016년에 실제 비행 테스트를 시작. 2020년에는 케냐에서 시험적인 상용 운전도 시작하고, 35개의 풍선이 5만 평방 킬로미터에 걸쳐 Wi-Fi를 제..

정보통신기술 2021.01.22

프로그램의 파일 읽기 쓰기에서 "mmap"을 사용하면 속도가 향상하는 이유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파일의 읽고 쓰기"는 사용빈도가 높은 작업이며, 속도의 향상은 소프트웨어의 전체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러한 파일을 읽고 쓰는 작업을 할때 "mmap을 사용하는 쪽이 보통의 시스템 콜 보다도 빠르게 파일을 조작 할 수있는 이유"에 대해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부교수 인 Alexandra Fedorova 씨가 설명. OS 상에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그램은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이용한다. 사용자 공간은 프로그램이 자유롭게 액세스 할 수 있지만, 커널 공간은 프로그램에서 직접 액세스 할 수 없다. 자원 공간을 2개로 분리하는 것은 보안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파일의 읽고 쓰기 등의 하드웨어 작업을 수반하는 처리는 커널 공간에서만..

정보통신기술 2020.11.01

구글, 반도체 칩의 설계에 필요한 "PDK"를 오픈 소스 화하는 프로젝트 지원

CPU 등의 반도체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는, 자사에서 생산 라인을 보유하고있는 경우도 있지만, AMD 처럼 TSMC 등의 EMS에 생산을 위탁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의 제조를 EMS에 위탁 할때는 설계 소프트웨어의 구입 비용 등을 부담해야하지만, 그러한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로 무료 화하는 프로젝트를 Google에서 지원하고있다. 반도체를 설계하는, 반도체 제조 의뢰처 인 파운드리에서 "Process Design Kit(PDK)"라는 개발 키트를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DK라는 것은, 특정 반도체 공정에서 회로 설계를 할 때 사용하는 설계 정보를 정리 한 것. 예를 들어 TSMC의 자동차 IC를 위한 7nm 공정에 최적화 한 PDK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동차 IC 설계를 할 업체가..

정보통신기술 2020.07.12

원격 회의에 도움되는 "노이즈 제거 기능"이 Google Meet에 추가

구글의 화상 회의 도구 인 "Google Meet"에, 획기적인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자택에서 회의에 참가할 때 고민거리 중 하나가, 개 짖는 소리와 아이의 울음 소리, 전화 벨소리 등의 가정 내 소음이 마이크에 담겨버리는 일이지만, 구글은 기계 학습을 활용 한 기술로, 신경이 쓰이는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실현 한 것이다. 화상 회의 분야에서 Zoom과 마이크로 소프트의 Teams 등이, 시장의 패권을 다투면서 기능을 향상시켜왔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화면 공유 및 화이트 보드, 가상 배경 설정 등의 다양한 진화가 소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혁신의 중심은 화면이 중심이되어 있었다고 할 수있다. 그런 가운데, 마이크로 소프트는 4월에 Teams에 노이즈 제거 기능을 추가한다고 선언했지만, ..

정보통신기술 2020.06.14

색맹을 보정 해주는 하이테크 구조의 콘택트 렌즈 개발

지금까지, 색각 다양성(색맹)을 교정 해주는 안경은 개발되고 있었지만, 마침내 콘택트 렌즈 타입이 등장 할지도 모른다.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메타 서피스"라는 초박형 광학 필름을 포함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것으로, 색맹을 보정 해준다는 것이다. ◆ 콘택트 렌즈라면 상시 장착 가능 "이 콘택트 렌즈는, 요구에 맞게 콤팩트하고 튼튼한 수단으로 색채 장애에 대응하고 있습니다"라고, 이 렌즈를 개발 한 이스라엘 텔 아비브 대학의 샤론 칼레포프 씨는 말한다. 색맹 중에서도, 가장 일반화 된 제2형 색각(녹색약)인 사람은, 녹색을 느끼는 "피라미드 시세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그래서 빨강, 오렌지, 노랑, 녹색 등 색상의 차이를 구별 하는데 서투르다. 이러한 색각의 이상을 보정 해주는 색각 보정 안경은 이..

정보통신기술 2020.03.10

미래의 드론은 조류형이 될지도....

지구에 사는 생물들은, 살아남기 위해 그 구조와 기능을 특화시켜왔다. 인간이 그것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새로운 과학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바이오미메틱스"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번, 차세대 비행 머신의 모델이 개발 된 것같다. 새는 하늘을 날 때, 날개를 활짝 펴거나 닫으면서, 그 형태를 바꾸고있다. 날씬하게 잘빠진 드론보다 기민하게 날수있는 것은 이러한 가변 날개가있는 덕분이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 그룹은, 날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비둘기의 관절을 흉내 내보기로했는데, 이렇게해서 탄생한 것이 "피죤봇(PigeonBot)"이다. - 비둘기의 신체 구조를 참고 엔지니어이며 생물 학자이기도 한 데이비드 렌팅크 씨 등은, 이미 죽은 비둘기의 날개를 참고로 피죤봇의 개발에 임했다. 이것을 구부리거나 펴거나하..

정보통신기술 2020.01.22

러시아가 "인터넷 차단 실험"에 성공, 정보 통제를 강화

러시아 정부는 12월 23일, 국내 인터넷을 해외에서 차단하는 실험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해외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지해도 문제없이 인터넷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한다. 테스트에는 정부 기관이나 보안 업체, 통신 사업자 및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기업들이 참여하고, RuNet이라는 러시아 인터넷이 독립적으로 작동 할 수있는지를 검증 하였다. 러시아는 최근, "인터넷 쇄국"이라는 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11월에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 트래픽을 중앙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의무화하는 법안 "인터넷 주권법"을 시행했다. 러시아 정부는 이번 테스트에서 안정적인 통신과 모바일 통신의 보안, 개인 정보 보호가 확실한지를 확인한다. 또한 IoT 디바이스의 보안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했다..

정보통신기술 2019.12.27

페이스북의 "메시지 암호화"가 문제시되는 이유

페이스북은, 이용자의 데이터를 남용함으로써 전세계에서 비난을 받고 있지만, 그 페이스북이, 정부에 의한 개인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방지하는 최후의 보루가되어 있다는 것은 좀 아이러니하다. 미국과 영국 등의 정부는, 당국이 콘텐츠에 액세스하기위한 백도어를 설치하도록 페이스북에 압력을 가하고있다. 페이스북 자체도, 암호화에 대한 딜레마를 안고있다. 회사는, 암호화를 추진하면 이전과같이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없게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페이스북이 암호화를 추진하는 이유는 뭘까? 페이스북은, 16억 명의 월간 사용자 수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메시지 앱 "왓츠업"을 산하에 두고있다. 왓츠업은 2016년부터, 종단 간 암호화를 구현하고있고, 메시지를 발신 한 사용자와 수신자 만 내용을 볼 수있다..

정보통신기술 2019.10.12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 인 휴머노이드 로봇

이족 보행으로 인간처럼 뛰어다니고,, 화려한 파쿠르로 차근 차근 진화하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 "아틀라스(Atlas"가 또 다시 누리꾼들을 깜쪽 놀라게했다. 이미 인간 뺨치는 신체 능력을 갖추고있는 아틀라스가 이번에는 또 무엇을?라고 생각했는데, 이번에는 체조하는 것으로 보이는 움직임을 마스터 한 것 같다. 물구나무를 서서 전진한다든지, 큰 점프외에도 트위스트 점프 등을 연기하는 것처럼 차질없이 해내는 모습은 꼭 사람을 의심하게하는 수준. 그 움직임을 바라보고 있으면, 어떻게 로봇이 저렇게 움직일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 속에 사람이? 고도의 정밀한 곡예 동작 이는 지난 24일,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공개 한 아틀라스의 새로운 영상이다. 흔들림없는 안정성과 대담한 도약은 물론, 그 충..

정보통신기술 2019.09.28